W7 - Xref Base 파일 생성하기 (Wblock)
- 명령어 : W7 ( Wblock for Basefile )
- XREF용 BASE파일 만든다.
- 한파일에서 작업한 여러층의 평면도등을 XREF용 개별 BASE파일로 분리한다
- 속성+동적블럭 지원 (22D1이후신설)
- "블럭삽입점"과 "원점(0 0 0)" 변경가능
- "경로" 와 "파일이름" Text필요함 (속성블럭 가능)
- WBLOCK에 포함된 객체는 삭제됨 ( 남은 객체확인용 )
- 작업파일은 실행전 저장 또는 UNDO 복구할것
- 선택 : 도곽블럭 또는 폴리선(직접선택)
- 순서1 (바로실행) : DCL 옵션설정후 "확인" ▶ 자동선택 or 직접선택 ▶ 실행 ( 개별파일 생성 or 덮어쓰기 )
- 순서2 (목록확인) : DCL 옵션설정후 "Preview-> PLAY" ▶ 자동선택(filter) or 직접선택(filter) ▶ 목록확인 ▶ 실행

- 옵션 (DCL)

1. 도곽설정 (W7SET) : 도곽선택 > 1.저장위치 영역 > 2.도면명 영역 > 3.원점 순으로 구역설정


- 이전 설정이 있을경우 1(빨강) 2(노랑) 3(녹색)으로 표기되어 설정상태 확인가능

2. 파일이름 : 도면명 및 머릿말 꼬리말 추가가능
- 폴더 또는 상위폴더에 W7설정파일( WB_W7_2021.ini )이 있어야 "확인(ok)", "머리말", "꼬리말" 활성화됨
- 파일이름은 필수항목으로 체크비활성
3. 원점기준 : 새로생성될 xref 블럭의 원점( 0,0,0 )및 블럭삽입점 설정
- none : 도곽의 좌측하부점을 "블럭 삽입점" 사용 (좌표변경없음)
- 좌측하부점 : 도곽의 좌측하부점을 "원점"과 "블럭삽입점" 사용
- 사용자지정 : W7설정때 지정한 지점을 "블럭삽입점" 과"원점" 사용
4. 선택 (block 또는 Pline )
- 자동선택(Filter) : 도곽블럭만 자동선택
- 직접선택(Filter) : 도곽블럭+폴리선만 선택가능
- 직접선택 : 모든객체 선택가능 (미리보기 사용불가)
5. 선택필터
- 폴더내 설정된 도곽이름
- S4 또는 A3등에서 자동추가된 블럭이름 DB
https://leelisp.tistory.com/entry/A3DB?category=765088
6 객체선택 도곽내 객체선택방법
- Windowos : 도곽내 모두 포함된 객체
- Crossing : 도곽내 일부 포함된 객체
- 영역확장 : 도곽의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할때 사용
7. Layer-On,Thaw,Unlock : Off 또는 lock된 객체를 블럭에 포함하기 위한 해제옵션
8. 파일덮어쓰기 (or 폴더생성)
- 체크 : 기존파일을 삭제하고 파일생성 (쓰기방지일경우 오류메세지 표시)
- 해제 : 중복파일이 있으면 도면명이 겹치지 않도록 폴더생성 (파일 OPEN후 명령진행 횟수)
9. 파일명 공백 삭제 : 파일명에 포함된 공백삭제
10. 도곽제외 : 도곽블럭 또는 폴리선을 제외하고 Xref생성할 경우
11 Preview-> PLAY
- 생성될 경로 및 이름확인
- 중복파일이 있을경우 옵션표기 (덮어쓰기 또는 새폴더)


- 관련명령어
'Lee lisp > Layou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eview->Play ( Layout 공통사용 ) (0) | 2022.07.13 |
---|---|
도곽블럭 선택 ( Layout 공통사용 ) (0) | 2022.07.13 |
S4 - 표제란 자동입력 (도면번호, 도명, 축척등) (3) | 2021.10.23 |
S4SET - 표제란 정보설정 ( Plot 및 Layout 공통사용) (0) | 2021.10.23 |
CHH4 - 도곽내 치수선과 문자높이 일괄수정 (0) | 2021.10.03 |